![](http://www.stroke-letters.or.kr/image/stroke/img_07_20.gif)
뇌졸중 환자에게 규칙적인 운동은 아주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신체 활동을 증진시키게 되면 혈압이 하강하고 비만이 예방되며 스트레스가 풀리고 기분도 좋아질 뿐 아니라 활발한 신체 활동을 통해 뇌졸중도 예방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① 운동의 종류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격심한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걷기나 수영과 같이 몸에 무리가 되지 않는 운동이 좋습니다. ② 운동 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른 아침에 운동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나 운동하기 적절한 시간은 계절이나 기후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예를 들면 추운 날씨에는 따뜻한 오후가 좋으며 더운 여름에는 이른 아침이 좋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운동은 이른 아침이나 해가 진 바로 후인 초저녁과 같이 시원하고 습기가 적을 때 하는 것이 적합하며 추운 날 운동을 하는 경우는 두꺼운 옷을 입는 것보다 얇은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체온을 조절하기 좋습니다. 특히 뇌졸중의 경험이 있거나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추운 날씨에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른 아침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③ 운동의 강도 적절한 운동 강도는 운동을 하는 동안 옆 사람과 이야기를 할 때 숨이 차지 않는 정도가 좋으며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는 낮은 강도로 시작하여 점차 운동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운동의 강도는 맥박을 측정하여 결정하게 되며 최대 심박동 수를 이용하여 운동의 강도와 운동시 목표 심박동 수를 계산하게 됩니다. 최대 심박동 수란 심장이 가장 빠르게 뛰는 상태로 220에서 자신의 나이를 빼면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 운동을 시작할 때는 최대 심박동 수의 40∼50%의 강도로 실시하며 노인들은65% 정도까지만 증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ㅍ ④ 운동의 횟수 운동은 매일 조금씩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적어도 일주일에 3∼4회는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운동의 횟수가 일주일에 3회 이하이면 운동의 효과는 줄어들게 됩니다.
걷기운동 일반적으로 고혈압이나 뇌졸중 환자는 뇌졸중 재발을 우려하여 운동이나 활동하는 것을 기피합니다. 그러나 운동이 부족하면 뇌의 혈액 흐름이 나빠져서 뇌졸중이 재발할 위험이 커지며, 마비된 사지근육의 위축이 심해지고, 관절이 굳어 마비증상이 더욱 심해지므로 약물을 복용하면서 적당한 운동을 꼭 해야 합니다.
운동부족은 노화를 촉진하고,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 운동이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지만, 고혈압이 있는 사람이나 뇌졸중 병력이 있는 사람은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걷기는 고혈압증이 있는 사람이나 뇌졸중 병력이 있는 사람에게 가장 이상적인 운동입니다. 생활의 연장이 운동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적당한 속도로 할 수 있고, 힘들면 당장 그만 둘 수도 있어 안전합니다. 더구나 쇠약해지기 쉬운 근육을 단련시킬 수도 있습니다
![](http://www.stroke-letters.or.kr/image/stroke/img_07_21.gif)
![](http://www.stroke-letters.or.kr/image/stroke/img_07_22.gif)
![](http://www.stroke-letters.or.kr/image/stroke/img_07_23.gif)
운동 치료 프로그램, 뇌졸중 환자들에게 유익
의학잡지 ‘Stroke’지에 실린 한 보고에 따르면 체계적이고, 점진적인 운동 치료 프로그램을 받은 뇌졸중 환자들은 보통의 치료나 자연적 회복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유익들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게이네스빌에 있는 플로리다 대학 보건과학센터의 던칸(Pamela W. Duncan) 박사와 동료 연구자들은 "뇌졸중 이후의 재활 치료는 기간이 매우 다양하며, 점차로 짧아지고 있다. 뇌졸중 후에 입은 장애와 기능적 제한들에 대해 운동 치료가 미치는 영향은 확실하지 않다."라고 말했다. 연구자들은 한 무작위 환자 대조군 단일맹검법 임상시험에서 100명의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운동 치료 프로그램과 일상적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를 마친 환자들은 92명이었다. 가정에서 시행하는 운동 치료 프로그램은 36개의 90분 세션이 12주간에 걸쳐 시행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굴곡성, 강도, 균형, 지구력, 그리고 상지의 기능에 주안점을 두었다. 주요 결과에는 강도, 상하지의 운동 조절, 균형, 지구력, 상지의 기능, 그리고 추적관찰에서의 운동성이 포함되었다. 다중변수 분석에서 일상적 치료와 비교하여 운동 치료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효과는 매우 유효하였다(p = 0.0056). 두 군의 환자들은 운동 강도, 균형, 상하지의 운동 조절, 상지의 운동 기능, 그리고 보행 속도가 개선되었음을 경험하였다. 일상적 치료를 받은 군에서는 지구력의 호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운동 치료 프로그램을 받은 군에 속한 환자들이 지구력, 균형, 보행 거리, 그리고 보행 속도가 일상적 치료를 받은 군에 속한 환자들보다 더 큰 유익을 갖는다고 보고했다. 던칸 박사와 동료 연구자들은 "운동 치료 프로그램을 받은 환자들은 균형 측면에서의 유익이 최초에는 점수가 낮았던 환자들에게서 특히 컸다. 상지 운동 기능적 측면에서의 유익은 기본 상지 기능이 더 좋은 경우에만 운동 치료 프로그램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더 컸다."라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뇌졸중 후 아급성기에서의 집중 치료로 얻는 유익함에 대한 증거는 현재의 건강관리 환경에서 뇌졸중 재활 서비스에서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향후 환자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라고 결론지었다. 인용논문 : Stroke 2003;34:2173-2180.
뇌졸중 소식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