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상성 목동맥 협착의 경우, 해당 부위에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동맥이 좁아지면 뇌로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일과성 뇌허혈 발작이나 뇌졸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 목동맥의 죽상 경화증 부위에서 혈전(피떡)이 떨어져 나가, 말단부 뇌동맥을 차단하여 색전성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대개 좁아진 혈관의 반대편 팔/다리가 마비됩니다. 그 외에 뇌졸중이 발생한 뇌의 부위에 따라 말을 할 수 없거나(실어증), 시야가 좁아지는(시야 장애)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여 신경과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뇌졸중 이외의 증상으로, 좁아진 혈관 쪽의 눈에서 시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좁아진 혈관때문에 혈액의 공급이 저하되어 망막에 허혈성손상이 발생하거나, 미세한 혈전(피떡)이 망막 동맥을 막아서 발생합니다. 무증상 목동맥 협착의 경우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초음파나 MRI 등의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그 외에 수술을 통하여 목동맥의 내막을 직접절제하는, ‘내막 절제술(endarterectomy)’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신 마취가 필요한 수술이기 때문에, 비교적 건강하고 연령이 낮은 환자에서 시행을 하게 됩니다. 내막 절제술은 목의 피부를 절개한 후, 목동맥의 위와 아래를 묶어 출혈이 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 혈관을 열어 혈관 내부의 내막을 직접 눈으로보면서 깨끗이 잘라 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목동맥 협착의 치료 가운데, 약물, 시술 그리고 수술 중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완벽하 게 결론이 내려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협착이 심하지 않은 무증상 환자에서 일차적으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은 비교적 인정되고 있으나, 협착이 심한 환자이거나 증상성인 환자에서 경피적 혈관성형술과 목동맥 내막 절제술의 선택 기준은 아직 연구 중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목동맥 협착의 치료 방향 결정은, 많은 경험을 갖고 있는 전문의와 상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목동맥의 죽상경화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전반적인 혈관 협착의 위험인자를 교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의 관리,금연, 규칙적인 유산소운동 및 체중 조절 및 관리등이 필요하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약물 투여를 통하여, 목동맥 협착의 진행을 차단하는 것이필요합니다. 출처 : 뇌졸중(Textbook of Stroke), 대한뇌졸중학회편, 2009; 뇌졸중 진료지침, 뇌졸중 임상연구센터, 2009;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 여성에서 뇌졸중 발생은 폐경 이후 급격히 증가합니다.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연구에서 갱년기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호르몬 치료가 유방암 및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관찰되었는데, 여러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폐경 후 호르몬 치료에 의해 뇌졸중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르몬 치료를 받고 있던 경우에 발생한 뇌졸중의 예후도 더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뇌졸중을 앓은 적이 있거나 고혈압, 당뇨병 등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으신 분들은 호르몬 치료를 받기 전에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뇌졸중 소식지
|
'좋은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와 싸웠다 어떻게 풀어야 할까? (0) | 2014.12.01 |
---|---|
뇌졸중의 위험인자및 관리/뇌졸중과 운동 (0) | 2014.11.30 |
뇌졸중의 위험인자및 관리/뇌졸중과 고지혈증 (0) | 2014.11.27 |
노인영양결핍 심각, 건강 위해 꼭 챙겨야 할 영양은? (0) | 2014.11.25 |
내가 환자? 당뇨병만큼 흔하고 위험한 COPD (0) | 201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