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자료모음

급성기 뇌졸중의 진단적 검사

by 푸른들2 2014. 10. 27.

 

 

 


병력의 청취
치료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발생시간이 언제인가’를 정확히 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 동안에는 대부분 발생시간을
정확히 알 수 있으나 아침에 자고 일어나서 증상을 처음 발견하신 경우는 잠들기 전 마지막으로 정상이었던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치료를 결정합니다. 환자가 최근에 큰 수술을 받았다거나 뇌출혈 및 출혈성 질환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및 각종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혈전용해를 시행하기 어려우므로 자세한 병력을 의사에게 말해주셔야 합니다.

컴퓨터 단층촬영
안전하고 검사시간이 짧으며 뇌경색과 뇌출혈을 쉽게 구분해 주므로 정맥 또는 동맥 혈전용해술 처치 전에 응급실에서 먼저
CT를 촬영하게 됩니다.

혈액검사, 심전도, 흉부 X-ray
기본적인 혈액검사, 혈액응고검사, 혈당검사, 당화혈색소검사, 고지혈증검사, 염증인자 검사 등을 실시하며 심인성
색전증이나 기타 심장질환에 의한 뇌졸중인지를 감별하기 위하여 심전도, 심초음파검사를 실시합니다. 흉부X-ray도
실시합니다.

뇌자기공명영상
CT 보다 먼저 MRI 상에 뇌졸중의 경색부위가 나타나며 작은 병변이나 뇌간에 위치한 뇌졸중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시간이 20분 이상 소요되며 비용이 많이 듭니다. 또한 환자 상태가 불안정하여 안정을 취할 수 없을 때나 체내에 금속
물질이 들어 있는 경우 영상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뇌혈관조영술
특수한 도관을 사타구니의 대퇴동맥을 통하여 삽입하여 뇌혈관의 상태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가장 정확한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검사 도중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도관을 삽입한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 후 8
시간이상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검사 부위를 압박한 상태로 절대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좋은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도 쪼그라들어.." 스트레스의 악영향 4   (0) 2014.10.31
급성기 뇌졸중의 치료  (0) 2014.10.30
뇌졸중의 응급처치  (0) 2014.10.26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 2  (0) 2014.10.25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  (0) 201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