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자료모음

한국의 전통 술 <막걸리>2

by 푸른들2 2010. 7. 9.

 

 

1. ‘일’차에서 끝내고
2. ‘이’차 이상 가지 맙시다.
3. ‘삼’차 이상 가는 사람은
4. ‘사’람 잡을 사람입니다.
5. ‘오’직 자기 주량대로 마셔서
6. ‘육’체와 가정을 보호합시다.
7. ‘칠’칠치 못한 사람처럼 술 핑계 대지 말고
8. ‘팔’팔하게 살아갑시다.
9. ‘구’차한 변명과 이유 달지 말고 음주
10. ‘십’계명으로 자신의 건강과 가정을 지키는 게 어떻겠는지요?


막걸리의 부활

막걸리는 토속적이다.

비지땀이 흐르는 한여름 들판의 뙤약볕 속 이나 장마철 농막 아래에서

양은주전자에 담긴 막걸리를 사기그릇 에 철철 넘치도록 받아

벌컥벌컥 들이켜는 맛이란…,

안주론 파전 이 제격이나 손으로 쭉 찢은 김치만으로도 충분했다.

막걸리는 서민들의 벗이다.

'…문득 혼자라고 느낄 때, 좀체로 삶이 팍팍하다고 느낄 때,

사람과 사람들 사이 내가 한 사발의 막걸리로 놓여…

입가에 묻은 허연 막걸리 자국 훔치지 않아도,

아름다 운 그런 편안한 막걸리 한 잔 걸치고 싶다.

 

'(윤성택시인의 '막걸 리 한 잔'에서).


혜원 신윤복의 대표작<주사건배>,
주사건배란 술판이 벌어지고, 잔을 들어올린다는 뜻. 간송미술관 소장.


막걸리는 그 기원이 정확치는 않다.

단군신화에도 햇곡으로 빚은 제주를 신농주(神農酒)라 불렀으며

'조선양조사'에 "처음으로 대 동강일대에서 빚기 시작해서

국토의 구석구석까지 전파되어 민족 의 고유주가 되었다"라고

기록돼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즐겨 마셔 유명해진 소위 '박통막걸리'는

북 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요구로

지난 1998년 정주영 전 현대그 룹회장이

소떼 방북 때 함께 가져가기도 했다


양은주전자와 막걸리


70년대 이후부터 맥주와 소주, 그리고 양주 등에 밀려

명맥만 유지 해 왔던 막걸리가 최근 들어 대학가를 중심으로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막걸리 전문점이 생기는가 하면

일반 주점에도 막걸리를 주메뉴로 추가하는 등 열기가 대단하다고 한다.

학생들의 가벼워 진 주머니 탓도 있지만

제조회사들의 젊은층 입맛을 사로잡기 위 한 꾸준한 노력도 주원인.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해 쌀막걸리 외에 도

'인삼막걸리''녹차막걸리' 등이 등장했고

브랜드와 용기디자인 도 세련됐다고 한다.

옛향취는 많이 사라졌지만 막걸리의 새로운 부활은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열무김치와 고추장으로 비빈 보리밥 한 그 릇에

막걸리 한 잔이면 올 여름 폭염도 저멀리 달아날 것만 같다

주막



주막 酒幕 - 시골 길가에서 밥과 술을 팔고,

돈을 받고 나그네를 묵게 하는 집.


주막이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잘 익은 술과 따뜻한 고기,

그리고 인심 좋은 주모,

술을 마시면서 세상을 한탄하는 사람들. 그런 모습이 상상된다.


비오는 날 막걸리와 파전이 생각나는 이유



막걸리와 파전은 과거 조상들이 비오는 날 즐겨 먹었다.

우리나라에 밀이 들어오고 난 후부터는 쌀보다 가격이 싸고

또 배급도 밀가루가 주류였기에

거의 모든 가정에는 밀가루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어려웠던 시절 김치나 야채를 많이 넣은 부침개는

술안주로서는 물론이고,

한끼의 훌륭한 식사가 되었고 허기진 배를 달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었죠.

지금은 양주, 맥주 등이 흔하지만 옛날에는 맥주는 비싸서,

큰 일 아니면 사먹지 못했습니다.

보통 흔한게 막걸리 입니다.

집안의 대소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막걸리인데

특히 시골에서 농사철에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술입니다.

그때 안주가 뭐냐하면 부침개입니다.

파전, 배추전, 고추전... 기타 등등 이런 것들로 늘 안주를 했는데,

농촌에 비가 오거나 겨울에 눈이 많이 와서 일을 못하면 뭐하겠습니까?

바로 경로당이나 마을회관에서 아니면 또래끼리 모여서

막걸리에 전을 부쳐서 환담을 한다거나 술을 즐기고

농한기의 무료함을 달랩니다.

이런 향수 때문에

보통 비가 오거나 추워서 밖에 나가기가 곤란하면

그런 추억이 생각나는 것이죠.


비오는날 밀가루 음식과 6도 정도의 알콜인 막걸리는 보약이다.

밀가루는 저기압일 때 우울한 기분을 추스러주며

몸의 열기도 식혀줍니다.

막걸리 역시 우울한 기분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하고요.

밀가루는 몸에서 열이 나고 답답한 증상을 없애며 갈증을 해소하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비오는 날 먹으면 한낮 높은 습도와 열기와 지친

몸의 열기를 식힐 수 있어요

파전


 


만드는 요령


① 실파는 다듬어 깨끗이 씻어 반길이로 자르고 머리쪽은

칼등으로 두드린다.
② 멥쌀은 불려서 물1컵을 붓고 곱게 갈아 밀가루와 합하고 물1컵을

부어 반죽을 만든다.
③ 해물은 손질하여 소금물에 흔들어 씻어 건진다.
④ 실파를 머리와 잎을 반반씩 한줌 쥐어서 ②의 반죽에 담갔다가

달구어진 팬에 기름을 두르고

가지런히 놓는다.
⑤ ④에 해물과 붉은 고추 채친 것을 펴 얹는다.
⑥ 달걀을 풀어서 위에 끼얹고 밑이 노릇하게 익으면 뒤집어 지져낸다.
⑦ 양념초장을 만들어 찍어 먹는다


홍탁삼합


홍어의 고향 흑산도는 목포에서 약 90km 정도의 거리로

뭍에서 먼 거리에 위치합니다.

요즈음은 쾌속선을 타고 뱃길로 두 시간 거리지만

과거 일반 여객선으로는 다섯 시간이 더 걸렸습니다.
이보다 더 먼 옛날, 돛단배를 타고 오가던 시절에는

기상 상태에 따라 며칠씩 걸리기도 했는데

변변한 냉장 설비가 없었던 어부들이 애써 잡은 생선은

육지의 어시장까지 가기 전에 상해 버리기 일쑤였죠.

그런데 개중에는 맛이 갔어도 먹고 배탈이 안 나는 생선이 있었으니 그게 바로 홍어였다고 합니다.

그 이후로 홍어를 별미로 삭혀 먹었다고 합니다.

이 삭힌 홍어 얘기는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나오는데

'나주인들은 삭힌 홍어를 즐겨먹는데,

탁주 안주로 곁들여 먹는다'고 기록되어 있을 만큼

오래된 발효 음식입니다.

홍어의 '홍'자와 탁주(막걸리)의 '탁'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 '홍탁(洪濁)'입니다.

삭힌 홍어의 톡 쏘는 맛과 탁주의 텁텁한 맛이 어울려

이것만으로도 훌륭한 조합이지만,

홍어를 제대로 먹을 줄 아는 술꾼들은

여기다가 비곗살이 붙은 삶은 돼지고기에 묵은 신김치까지 곁들여 먹는데,

이를 '홍탁삼합 (洪濁三合)'이라 하여

최고의 안주로 칩니다.

홍어의 찬 성질과 막걸리의 뜨거운 성질이 잘 조화되어

완벽한 궁합의 음식인데,

오늘같이 찬 바람이 가슴을 후벼드는 날엔

잘 익은 김치에 푹 삭힌 홍어와 비곗살 붙은

돼지고기를 얹은 후

새우젓과 함께 한 입 가득 보쌈해서 먹고 막걸리 한잔을

곁들인다면, 정말 부러울 것이 없겠죠?!

두부김치



두부김치는 조리한 김치에 따뜻하게 데운 두부를

곁들인 음식이다.

이 음식은 종종 안주로 제공되며,

특히 소주를 마실 때의 안주로 인기가 높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가 김치와 함께 조리되어 나온다

순대


 


순대는 돼지 곱창에 당면을 담고 선지로 맛과 색깔을 내어

수증기에 쪄낸 음식이다.

부산, 울산 및 경상남도 일부지역에서는 막장에,

다른 지역에서는 주로 양념 소금에 찍어먹으며,

돼지 간이나 허파등의 잡고기와 함께 팔기도 한다.

이를 응용한 음식으로는 순댓국, 순댓국밥, 순대볶음 등이 있다.
재료에 따라 오징어 순대, 찹쌀 순대 등이 있으며,

만든 지역에 따라 병천 순대, 아바이 순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