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자료모음

콜라 많이 마시면 '이갈이' 심해지나

by 푸른들2 2015. 6. 19.

 잠을 자는 도중에 이갈이를 하는 사람이 있다. 이를 앞뒤, 좌우로 가는 것 외에도 이를 꽉 깨무는 증상도 이갈이에 해당한다. 문제는 이갈이가 대부분 수면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옆에서 누가 얘기를 하지 않으면 스스로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 [헬스조선]자고 있는 남성/사진 출처=조선일보 DB

이갈이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불안, 스트레스 같은 심리적 원인이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졌다.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면 이갈이 습관이 심해질 수 있는데, 이를 가는 습관은 턱관절 질환뿐 아니라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오래 갈면 치아가 닳아 부정교합과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성장기엔 얼굴 모양이 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수면 호흡장애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 깊은 잠이 불가능해지면서 면역력 약화로 인한 여러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이갈이 증상이 심하면 다른 수면장애와 같이 정확하고 정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심리적인 요인에서 비롯되는 이갈이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줄이고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켜 주면 개선될 수 있다. 잠들기 전 수건을 따뜻하게 데워 뺨에서 턱까지 감싸 얼굴, 목, 턱의 근육을 부드럽게 주물러주면서 턱관절을 이완시켜주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수면 자세를 바꿔줄 필요도 있다. 개인마다 이갈이 증세가 호전되는 수면 자세는 다르므로, 평소 이갈이를 하는 사람이라면 똑바로 눕지 않고 옆으로 누워 자는 등 수면자세를 바꿔보고, 이갈이 증상 패턴이 달라졌는지 확인해서 이갈이를 억제하는 수면자세를 취하는 게 도움된다.

수면 전문가들은 올바른 식생활도 이갈이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알코올이나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을 과다 섭취하면 이갈이가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류, 콜라, 커피는 줄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