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날씨가 지속되는 이맘때면 통풍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연말이 되면서 각종 망년회 등의 회식 및 음주의 기회가 많아지고 환자 건강의 균형상태가 무너지면서 통풍이 발병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통풍은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통풍은 대표적인 '남성병'이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계에 따르면 통풍질환으로 치료받은 환자 수가 매년 10%씩 증가하고 있는데, 전체 환자 가운데 남성이 90%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술과 고기를 즐기는 40대와 50대가 전체 진료 환자의 48.2%로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한림대성심병원 류마티스내과 서영일 교수는 "통풍이 주로 남성에서 발생하는 이유는 남성은 신장에서의 요산 제거능력이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데 반하여 여성은 폐경 이전까지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기 때문"이라며 "특히 40~50대의 남성은 신장 및 장의 기능이 점차 약화되어 요산의 배출능력이 감소한 상황에서 과식, 과음, 운동부족 또는 과다운동 등으로 요산이 과잉 생성되어 통풍 발생 위험에 크게 노출되어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통풍은 생활습관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생활습관만 잘 개선해도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우선 비만이 되지 않도록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적절한 운동을 해야 하는데 과도한 운동은 탈수를 유발하고 요산의 생성을 촉진해 오히려 해가 되니 본인에게 맞는 운동법을 잘 선택해야한다. 또한 고단백위주의 식습관을 피하며 절주 또는 금주를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물을 자주 마시는 것도 요산 배설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예방에 효과가 있다. 서영일 교수는 "통풍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질환과 같이 동반되거나, 원인질환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질환을 잘 조절하는 것이 통풍 발작 빈도를 줄이는 것에 도움이 된다"며 "초기에 통풍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 발작성 관절염의 빈도가 점차 잦아지게 되고 염증이 침범하는 관절 수도 많아짐에 따라 만성적 관절염으로 발전할 뿐만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지방간 등의 대사증후군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초기부터 꾸준하게 통풍의 관리와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은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겁게 먹고 운동하면..남보다 10년은 더 장수" (0) | 2014.01.04 |
---|---|
만성탈수, 2주간 생활습관 바꾸면 해결돼 (0) | 2013.12.29 |
추운 날씨에도 끊지 말아야 할 '겨울철 운동' 7가지 주의점 (0) | 2013.12.27 |
寒겨울 과음한 다음날 새벽출근..심장엔 최악 (0) | 2013.12.19 |
빙판길 '꽈당' 사고, 예방 및 사후 대처법 (0) | 201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