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별 1봉 당 포화지방 함량. ⓒ한국소비자원 라면은 다소비 식품이지만 포화지방, 나트륨 등 건강 유해 가능성이 있는 성분을 적게 섭취하기 위해 섭취량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라면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영양성분 및 맛성분, 안전성, 표시실태, 가격 등을 조사했다고 15일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은 "간편하고 경제적인 가공식품으로서 매우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제품별 품질 및 안전성 조사가 이뤄진 바 없어 품질시험을 실시해 소비자에게 선택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조사 결과, 라면의 포화지방은 1일 영양소기준치의 51.3%, 나트륨은 86.5% 수준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 함량은 1봉에 6.3∼9.1g 수준으로 제품별 최대 1.4배 차이나고, 1봉당 평균 7.7g으로 1일 영양소기준치 15g의 51.3% 차지한 것. 라면의 면을 튀길 때 사용하는 팜유는 다른 식물성유지에 비해 포화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포화지방의 과다 섭취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불포화지방이 높은 대체유로 개선 필요했다. 나트륨 함량은 1봉에 1,350∼2,069mg 수준으로 제품별 최대 1.5배 차이나고, 1봉당 평균 1,729mg으로 1일 영양소기준치 2,000mg의 86.5% 차지했다. 최근 정부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라 일부 업체는 나트륨 저감화 노력의 일환으로 나트륨 함량을 낮춘 제품을 재출시해 유통 중이지만, 여전히 나트륨 함량은 높은 편.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업계의 지속적인 포화지방과 나트륨 저감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타났다. 또한 제품별 영양성분의 차이 있어, 표시된 영양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1봉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한 끼 영양소기준치 대비 단백질 56.3%, 탄수화물 71.6%, 지방 97.6% 수준으로 한 끼 식사대용으로는 부족한 것. 칼슘 함량은 29.2∼221.2mg 수준으로 제품별 최대 7.6배 차이나고, 1일 영양소기준치 700mg의 4.2∼31.6%를 차지했다. 전제품에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은 불검출됐고, 방사선 조사는 행해진 제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라면'에 관한 가격·품질비교정보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및 정부 3.0 달성 차원에서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
'좋은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의 종류 (0) | 2014.10.21 |
---|---|
열나고 쑤시는 가을감기, 혹시 '이것' 일수도 (0) | 2014.10.19 |
독한 가을감기.. 심하면 '뇌막염' 발전 (0) | 2014.10.16 |
배 나온 모양으로 아들, 딸 구분 가능한가요?" (0) | 2014.10.13 |
눈이 보내는 내 몸의 이상신호, 놓치지 말아야 (0) | 2014.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