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s tip 발 씻기
오랫동안 걷거나 계속 서 있는 사람, 반대로 의자에 계속 앉아 있는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바로 다리의 부기다. 다리의 혈액순환이 나빠지면서 혈액이 정체되어 붓게 되는 것. 이럴 때 좋은 게 바로 반신욕이다.
하반신으로 내려가 있는 혈액이 순환되면서 균형이 맞춰진다. 좀 더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는 건 족욕. 대야에 42℃가량의 뜨거운 물을 붓고 발과 다리를 충분히 담그면 된다.
15분 정도 있으면서 물의 온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조금씩 물을 보충해주면 그것만으로도 혈액순환에 큰 도움이 된다. 부어 있던 다리가 풀리는 느낌이 들면서 몸 전체가 따뜻해지는 느낌이 들 것이다.
마지막에는 샤워기를 통해 37℃의 물을 발에 뿌리며 발목을 돌리거나 발가락을 움직이는 등 가볍게 발 마사지를 해주자. 모든 장기의 신경세포가 모여 있는 발은 언제나 따뜻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이것이 지켜지지 않으면 자율신경에 이상이 생기면서 몸 전체적으로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part 2
보디케어의 시작, 기분 좋은 목욕법
깨끗한 몸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매일 씻는다. 하지만 목욕에는 습관적인 비누칠 차원이 아니라, 제대로만 하면 훌륭한 건강법까지 숨어 있다. 어렸을 때 굳어진 잘못된 목욕법을 개선하면 생활 속에 숨겨진 건강을 되찾을 수 있다. 하루 일과를 마친 뒤, 38℃ 정도의 목욕물에 몸을 깊이 담그면 기분이 좋아진다. 따뜻한 기운이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근육에 쌓인 젖산 등을 없애주면서 몸을 이완시켜주기 때문. 또한 물속의 부력효과는 체중의 부담까지 덜어주기 때문에 목욕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적지 않다. 집 안의 욕조가 아니라 온천이나 호텔 목욕탕과 같이 큰 탕에 들어가게 되면 그 효과는 배로 커진다. 따라서 일부러 시간을 내어 공중목욕탕을 가는 것도 좋다.
효과적인 목욕법
● 알맞은 온도 집에서도 가벼운 반신욕을 즐길 수 있다. 38~40℃ 정도의 미지근한 목욕물을 욕조에 받아 허리 정도까지 몸을 담그고 20분 가량 탕에 들어가 있는다. 그 안에서 양손을 욕조에 걸치고 허리를 젖히거나 비틀거나 하는 등의 허리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욕조에서 나오기 몇 분 전에 목욕물 온도를 조금 더 높이고 2~3분간 더 있는 것도 효과적이다.
만약 온탕과 열탕 등으로 나눠진 공중목욕탕이라면 천천히 몸을 달궈주는 것이 좋다. 온탕에 먼저 들어가 5분 정도 전신욕을 한 후 열탕에서 3분 정도 반신욕(배꼽까지 몸을 담그는 것)을 하고, 다시 온탕으로 돌아와 그 안에서 허리나 배 운동 등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38~40℃ 정도의 온도가 적당하지만 더운 여름철 샤워는 22~25℃ 정도가 좋다. 샤워는 15분 이내로, 목욕은 30~40분 정도가 적당하다.
● 씻는 순서 개인의 습관에 따라 몸을 씻는 순서는 제각기일 것이다. 하지만 피부 건강을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얼굴을 먼저, 몸을 나중에 씻는 것이다. 몸은 얼굴에 비해 각질을 제거하기에 알맞은 상태가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좀 더 데워진 후 씻는 게 낫다. 욕조 안에 들어가기 전에는 미지근한 물로 다리, 허리, 팔, 어깨의 순서로 씻고 욕조에 들어가서는 5분 정도씩 먼저 발, 하반신, 상반신의 순서로 담그고 몸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 충분한 거품 내기 몸을 씻을 때는 비누나 보디샴푸 등을 이용해 몸을 쓰다듬듯 문질러준다. 이때, 될 수 있으면 거품을 많이 내는 게 좋다. 비누나 샴푸의 거품은 매우 작은 비눗방울이 가득 모여 있는 상태다. 하나하나의 거품 속에는 작은 틈이 있는데, 이 틈이 피부에 달라붙어 있던 미세한 때를 빨아들인다. 거품을 몸에 듬뿍 발랐다가 쓰다듬듯 씻어내기만 해도 피부는 깨끗해진다.
● 반신욕의 방법 반신욕을 할 경우 가슴 윗부분으로는 물기를 묻히지 않는 것이 좋다. 뜨거운 물속에서 어깨에 물을 끼얹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이렇게 되면 기화열을 빼앗겨 오히려 추위가 느껴진다. 하반신에만 따뜻한 물을 끼얹고 욕조에 들어가자. 이때 상체에 한기를 느낀다면 물을 끼얹는 대신 마른 수건을 걸치는 것이 좋다. 조금만 버티면 몸이 데워지면서 엷은 땀방울이 맺힌다.
![](http://danmee.chosun.com/site/data/img_dir/2009/06/25/2009062501134_3.jpg)
목욕 시 주의사항
● 보디클렌저를 깨끗하게 씻어낸다 클렌저의 역할은 피부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 및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깨끗한 세정을 위해 계면활성제와 산성물질을 사용하는데, 이것 자체가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 너무 뜨거운 물은 피한다 손가락이 쭈글쭈글해질 만큼 오래 하거나 42℃ 이상의 뜨거운 물은 결코 몸에 좋지 않다. 특히 뜨거운 물은 피부의 피지를 씻어내면서 오히려 까칠하게 만들 수 있다.
● 과도하게 때를 밀지 않는다 피지는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너무 과도하게 씻으면 피지와 피부보호막이 없어져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땀이 나는 여름이라 하더라도 하루 3회 이상은 씻지 않는 것이 좋다.
● 갑자기 차가운 바람을 쐬지 않는다 체온의 갑작스런 변화는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고 감기에 걸릴 염려도 있다.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기 쉬운 여름에는 더욱 주의를 해야 한다. 목욕을 마치고 몸의 물기를 완전히 닦은 후에는 타월이나 가운으로 몸을 감싸고 나와서 온도 차이를 극복하자. 또한 목욕 후에는 수분의 증발로 몸이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보습제를 즉시 발라주는 것이 좋다.
목욕의 상식
뜨거운 물에는 오래 있을수록 좋다?(X)
필요에 따라 뜨거운 물에 전신욕을 할 경우, 되도록 짧게 하는 것이 좋다.
목욕 후 차가운 물을 끼얹으면 탄력이 생기고 좋다?(X)
모공이 수축하기 때문에 찬 기운이 덜 느껴지긴 할 것이다. 하지만 손발에 차가운 물을 끼얹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머리에서부터 차가운 기운을 불어넣으면 자칫 심장에 통증을 줄 수도 있다.
목욕물은 노인이 먼저 사용하면 좋지 않다? (O)
수돗물에 함유된 염소, 막 데운 물의 뜨거운 기운은 피부에 자극을 줄 뿐만 아니라 체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다. 노인이나 영유아같이 피부가 약한 사람은 목욕할 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