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자료모음

녹차 vs 우롱차 vs 보이차가 같은 차라고 ?|

by 푸른들2 2011. 9. 29.

 

녹차 vs 우롱차 vs 보이차 무엇이 다른지 궁금하셨죠.

다 같은 ‘차’이지만, 사실 찻잎을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녹차, 우롱차, 보이차로 변한답니다.

 

 

■ 차(茶)의 분류

차는 그 종류가 대단히 많아 세계적으로 3,000가지 이상의 차 종류가 유통되고 있지만, 이들 차 종류의 분류에 대해 아직 통일된 방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업계와 일부 학계에서 차 폴리페놀의 산화정도에 따라 녹차, 황차, 흑차, 청차, 백차, 홍차 등 6가지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차 잎의 발효정도에 따라 불발효차, 반발효차, 완전발효차, 후발효차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 녹차(Green Tea, 불발효차)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에서 주로 소비되는 녹차는 불발효차(不醱酵茶)로서 찻잎을 채취해 바로 가열함으로서 차 잎에 존재하는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제조하는 차입니다. 특히 차에 존재하는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한 가열방식에 따라 덖음차와 찐차로 분류 되고 채취시기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 덖음차는 채취한 찻잎을 가마솥에서 덖어 제조(우리나라, 중국), 찐차는 증기로 쪄서 만듬(일본)

 

○ 녹차(불발효차)의 종류(채취시기에 따른 분류)

 

※ 절기에 따라 곡우(穀雨)이전의 잎을 극세작, 4월 20일 곡우 ~ 5월 상순 입하(立夏)사이의 첫물차의 잎을 세작(細雀, 上雀), 중작(中雀, 銘茶), 하작(下雀, 粗茶)으로도 분류

 

# 우롱차, 홍차(효소발효차)

 

우롱차, 홍차 등은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아닌 차 잎에 원래 존재하는 효소들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엄밀한 의미의 발효차는 아니나 관습적으로 ‘발효’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 차 잎의 산화효소 및 가수분해 효소 등의 작용에 의하여 차 잎의 성분이 생화학적으로 변화된 것(효소의 불활성화 시점에 따라 반발효차 및 완전발효차 등으로 구분)

 

홍차 (중국 후이성의 키먼 홍차)

 

# 흑차, 보이차 (후발효차, 미생물발효차)

 

후발효차인 흑차는 흑갈색을 띠고, 우린 찻물은 갈황색이나 갈홍색을 띤다. 흑차는 차가 건조되기 전에 퇴적하여 곰팡이를 번식, 곰팡이에 의해 자연히 후발효 진행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보이차(Puer tea)‘로 잘 알려져 있다.

보이차는 흑차의 한 종류로 중국의 운남지방에서 제조한 비교적 발효정도가 낮은 미생물 발효차를 지칭하지만, 현재 국내의 소비자들은 미생물 발효차인 흑차를 모두 보이차라고 부르고 있다

 

※ 제조: 대엽종 차엽을 녹차와 동일하게 제다공정의 첫 단계에서 열을 가해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고, 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미생물 포자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다음 멸균, 성형 및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 녹차vs우롱차vs보이차 맛대결

 

분 류

특징(맛)

녹차

○ 우전차(雨前茶) : 연하고 맛이 가장 부드럽고 감칠맛과 향이 우수한 차

○ 첫물차(봄차) : 맛이 부드럽고 감칠맛과 향이 뛰어난 고급차.

○ 끝물차(네물차, 가을차) : 섬유질이 많아 거칠고 아미노산이 적어 감칠맛이 없음

우롱차

차액은 황색이나 홍색을 띠고 있으며, 배 혹은 사과와 같은 특유의 향미를 가지고 있으며, 떫은맛의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의 양이 녹차에 비해 절반 이하이다.

차잎의 여러 성분들이 높은 온도에 잘 녹지 않는 성분으로 변해있어 물의 온도를 높게 하여 우려낸다.

보이차

○ 찻잎을 일정기간동안 적당한 온도와 습도 상태에서 찻잎 중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화학성분과 효소를 서로 반응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반응 중에 잎이 검게 변하며 홍차 특유의 향을 가진다.

○ 찻잎이 85% 이상 발효된 것으로 떫은맛이 강하고 찻물은 등홍색을 나타낸다. (키먼차, 다즐링차, 우바차, 아삼차, 실론차 등)

 

- 기사 및 사진 제공 :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관리과

 

 

출처 : 식약지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