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자료모음

황정자/ 처녀 뱃사공 실제 주인공과 그 나룻터

by 푸른들2 2010. 11. 30.

 

                                                                            나룻배를  타려는  손님들

 

 

               처녀 뱃사공의 실제 주인공  이필남

 

6.25전쟁 이후 어려운 시대상황을 고스란히 대변한

국민애창곡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q=%C3%B3%B3%E0%B9%EE%BB%E7%B0%F8&nil_profile=newskwd&nil_id=v20080828123013021" target=new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ver="UI.toolTip(event)">처녀뱃사공'의 실제 주인공 그녀는

경남 의령군 정곡면 적곡리가 고향이었으며

현재는 72.함안군 법수면 윤외리에 살고 있다.

 


 

 부용대 나룻터

 나룻배

 부용대의 솔밭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회마을 휘감아 도는 낙동강
 

 

  1959년 황정자씨가 불러 국민 애창곡으로 우리의 심금을 울려주고 있는 처녀 뱃사공의 작사 배경이 함안군 대산면 악양 나룻터라는 사실이 전국적으로 알려지면서 함안군은 처녀 뱃사공 노래의 탄생 배경을 모티브로 주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명소로 조성하기 위하여 처녀 뱃사공 노래비 건립과 아울러 주변 공원화 사업 계획을 마련했다.

처녀 뱃사공 노래비는 편의시설과 함께 남강과 함안천이 합류하는 지점의 악양나루 주변 지방 도 양옆 400여평의 공간에 2000년 10월 2일 세워졌다.

  1953년 9월 유랑극단 단장인 윤부길(작고, 윤향기. 복희의 부친)씨는 가야장 공연을 마치고 대산장으로 향하다 악양 나루에서 군에 입대한 오빠(박기중, 6.25때 전사)를 대신해 박말순 (작 고 당시23세), 박정숙(61. 창원 거주. 당시 18세)두 처녀가 강바람에 치마를 휘날리며 교대로 노를 저어 길손을 건네주는 애처로운 모습을 보고 군에 가서 소식이 끊긴 오빠를 애타게 기다 리는 23살 처녀의 애절함을 "낙동강 강바람에,,,,,"라는 노랫말로 갈무리 한다.

  이후 59년 악양 나루의 아름다운 모습과 처녀 뱃사공을 잊지 못한 윤씨가 한복남씨에게 작곡 을 의뢰해 탄생한 것이 [처녀 뱃사공] 이다.

처녀 뱃사공은 6~70년대 대단한 선풍을 일으켰으며 지금까지도 국민들의 사랑을 받으며 애창 되고 있다.

  군은 이러한 국민적 사랑을 받고 있는 처녀 뱃사공의 작사 배경지로서의 유명세를 관광 자원 화하는 계획을 통하여 함안을 전국에 알리는 좋은 기회로 판단하고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해 이를 홍보 함으로써 함안의 이미지를 전국화 할 계획이다.

  "처녀 뱃사공"의 노랫말이 유래된 악양 나루터에서 5월23일 KBS 제1 TV 가요 무대 제작진으 로부터 가사 내용이 재현되어 5월29일 밤10시 노래(바니걸스)와 함께 그 내용이 제1 TV 가요 무대를 통해 방영됐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건너편은 안동 하회마을

 

 

경남 함안 악양나룻터 처녀 사공 소재

 

■윤부길 작사 ■한복남 작곡 ■황정자 노래

 

윤항기 부친 윤부길 씨 지방 공연 때 작사

노래비 세워 기념 ---노래 주인공은 별세 (2000년 10월 2일 제막식)

 

1960~1970년대 많이 불렸던 국민애창곡들 가운데 <처녀 뱃사공>이란 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윤부길 작 사, 한복남 작곡으로 여자가수 황정자가 부른 대중가요다. 4분의 2박자 트로트(Trot)풍인 이 노래는 경쾌하 면서도 듣기에 따라선 애잔한 느낌을 준다. 노랫말에 담긴 내용이 아주 서민적이다. 노래가 나오기까지 구 슬픈 사연이 담겨져 있는 까닭일까?

모든 노래가 만들어지고 불려지기까진 나름대로 뒷 얘기가 있고 일반인들이 잘 모르는 에피소드들이 숨어 있다. 특히 <처녀 뱃사공>이 그렇다.

1959년 처음 소개돼 우리의 심금을 울려준 이 노래는 가사처럼 배를 젓는 처녀사공의 사연을 담고 있다. 노래 배경지는 경남 함안군 대산면 악양나룻터. 함안군은 지리적으로 경남의 중심지에서 동남쪽으로 자리잡은 도농 혼합형 고장으로 마산시에 가까운 곳이다. 남해고속도로가 곁에 지나고 의령군 진주시와 접경을 이 루고 있다.

특히 남강과 함안천이 만나 흐르는 지점에 140여 년 전인 1857년 안효순이 교유를 위해 지었다는 악양루 가 있는 악양나루는 경남사람들에겐 꽤나 알려져 있다.

처녀 뱃사공 노래사연은 이렇다. 6.25한국전쟁 휴전협정이 있은지 얼마 안 되는 1953년 9월 유랑극단 단장이었던 윤부길씨는 가야장 공연을 마치고 대산장으로 가던 중이었다. 극단 일행은 악양 나룻터에서 지친 몸을 잠시 추스리고 있었다. 함안군 가야면과 대산면엔 5일장 이 섰고 그때 전국을 떠돌던 극단이 장에 모여 든 주민과 상인들을 상대로 공연을 펼쳤던 것. 노래, 춤, 악기연주, 만담 등 TV쇼처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대중들의 귀와 눈을 즐겁게 해 줬다. 생활에 지친 서민들에게 유랑극단은 마음을 달래주는 청량제로서 관람 객들이 줄을 이었다. 극단사람들은 다음 행선지로 가기 위해 짐을 챙겨 배를 타게 됐고 어느덧 해는 저물 어 저녁 무렵이 됐다. 강을 건너긴 했으나 움직이기가 어중간한 시간이었다.

유랑극단 단원들은 전쟁과 가난으로 뱃사공의 집이 폐허로 변했으나 평화로운 전경이 너무 나도 마음에 들다. 피난살이와 떠돌이 극단생활로 찌든 일행은 노독을 풀 겸해서 그곳 나룻 터 뱃사공의 집에서 머물기로 했다.

윤 단장 일행은 군에 입대한 오빠(박기중·6·25한국전쟁 때 전사)를 대신해서 두 처녀가 강바 람에 치마를 휘날리며 교대로 노를 저어 지나는 길손들을 건네주는 모습을 가까이서 지켜봤 다. 두 처녀 중 언니 박말순씨 는 23세, 동생 박정숙씨는 18세였다.

 

 

나루터 뱃전에서 처녀뱃사공의 이 같은 사연을 듣고 있던 윤 단장은 군에 가서 소식이 끊긴 오빠를 애타게 기다리는 처녀들의 애절함을 낙동강 강바람에,,,,,란 노랫말로 갈무리했다.

그런 후 몇 년의 세월이 흘러 악양나루의 아름다운 모습과 처녀뱃사공을 잊지 못해 노랫말을 만든 윤씨가 1959년 한복남 씨에게 작곡을 의뢰해 탄생시킨 노래가 바로 <처녀 뱃사공> 이 다.

노래에 나오는 주인공 처녀 뱃사공(박말순)은 한창 멋을 부리며 가슴 설레는 꽃다운 나이였 다. 하지만 집안 사정이 어려워 사공 노릇을 하며 집안 생계를 돕고 있었다. 애석하게도 그녀 는 오래 살지 못하고 세상을 떴 다. 동생(박정숙)은 나이가 60대 중반으로 경남 창원시에 살 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

물론 작사를 한 윤부길 단장, 작곡가 겸 가수인 한복남 씨 역시 오래 전에 돌아가셨다. 윤 단 장은 가수 윤 항기, 윤복희의 부친으로 유명한 음악인이다. 윤항기씨는 몇 년 전 경기도 분당 에서 교회목사로 활동하다 서 울로 옮겨 종교생활에 열심이다. 그는 노래를 통한 찬양선교로 유명하다. 딸 윤복희씨도 연예 활동보다는 서울 동부이촌동에서 교회 일을 보면서 봉사하고 있다.

악양나루는 1997년 길이 50여m의 악양교가 놓이면서 그 생명을 다했다. 함안군은 이 노래 배경지가 된 곳이 악양 나루란 사실이 알려지자 그곳에 노래비를 세우기로 하고 1999년 가 을 2천여 만원을 들여 공사에 들어갔다. 악양루의 빼어난 경치와 <처녀 뱃사공> 탄생배경을 모티브로 주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명소로 꾸민 것이다.

함안군은 2000년 10월 2일 함안군민의 날 및 제14회 아라제 행사 마지막 순서로 이 노래의 배경지인 대산 면 남강변 악양 나룻터에서 노래비 제막식을 가졌다. 이 자리엔 진석규 함안 군수와 고 윤부길 씨의 아들 윤 항기 목사가 대신 참석해 눈길을 모았다.

 노래주인공 박말순 씨와 작곡가 한복남 씨는 세상에 없지만 가요는 남아 지금도 불려지고 있다. 예술은 길고 인생은 짧다고 했던가. 세월이 흐를수록 그 말이 정녕 틀림없는 것 같다.

 

 

(1절)

낙동강 강바람이 치마폭을 스치면

군인간 오라버니 소식이 오네

큰애기 사공이면 누가 뭐라나

늙으신 부모님을 내가 모시고

에 헤야 데 헤야 노를 저어라

삿대를 저어라

 

(2절)

낙동강 강바람이 앞가슴을 헤치면

고요한 처녀가슴 물결이 이네

오라비 제대하면 시집 보내마

어머님 그 말씀이 수줍어 질 때

에 헤야 데 헤야 노를 저어라

삿대를 저어라 

 

 

 

 



'좋은자료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좋다는 영양소 7가지  (0) 2010.12.02
위장에 좋은 식품..  (0) 2010.12.01
커피의 두 얼굴  (0) 2010.11.29
고쳐야 할 노인들의 "5 NO  (0) 2010.11.28
연말정산 꼼꼼히 따져 공제받으세요  (0) 2010.11.27